2023/10 3

가라드 401 음질 향상기

상태가 좋지 않은 가라드 401을 구입했고 또 잘 정비를 했다. 그리고 저렴하게 SME 3009 톤암을 구입했다. 바늘은 데논 103인데 103R보다 고음의 해상력은 없지만 음색이 더 진하다. 이에 소소한 음질 향상기를 소개한다. 1. 톤암 거치대 : 원래 테크닉스 SL-120 턴테이블에 있던 것으로 요즘 턴테이블 플린스를 구성할 때 톤암 거치대로 황동이나 알루미늄을 사용하는데 이미 테크닉스에서는 1970년대 적용한 것이었다. 음질이 선명하고 단단해진다.   2. 톤암 고정 고무링 : 원래 SME에서 제공되나 없어서 알리에서 구입하여 장착하였다. 그런데 소리가 다소 가라앉는 경향이라서 반으로 잘라서 사용하였다.   3. 톤암 스페이서 : 흑단으로 만든 것인데 소리가 선명하고 부드러워지나 무게감이 덜하다...

오디오 이야기 2023.10.27

이스턴7 멀티탭 허당수 버전2 판매

이스턴 7은 파워텍 30주년을 기념하는 역작으로 통알루미늄 괴를 그대로 파내서 만든 것인데 이는 세계 그 어느 곳에서도 유례를 찾기 힘든 것입니다. 그래서 무게가 무려 9kg에 달합니다. 왜 이런 시도를 했을까요? 진동과 차폐를 위한 것이기 때문입니다. 사진과 같이 모든 콘센트는 내부적으로 격벽으로 분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. 여기에 후루텍 NCF를 능가하는 콘센트 독일제 베커(극저온처리)를 채용하였고 내부 연결 선재는 7N(99.99999%) 구리 단결정 선재(12AWG)입니다. 더불어 접지선까지 동일한 단결정 선재를 사용하였습니다. 또한 특주한 고품질 인렛단자 그리고 순동 패스톤으로 연결되어 음질 열화인 납땜을 하지 않았습니다. 특별히 콘센트 간 연결 역시 단자를 쓴 것이 아니라 선재 직결을 통..

오디오 컨설팅 2023.10.12

김소희 <춘향가>

우리나라의 국악은 세계 그 어디서도 볼 수 없는 독보적인 음악 양식이다. 민속음악과도 차원이 다르고 서양의 고전음악(classical music)에 비견되는 아니 그 보다 차원이 더 높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. 이런 국악 중에서 백미라고 하면 역시 판소리를 들 수 있다. 특히 국창인 만정 김소희 선생의 과 는 말 그대로 문화유산이라 할 수 있다. 김소희(1917-1995) 선생의 춘향가 완창 녹음을 살펴보면 1936년, 1958년, 1976년, 1977년 모두 네 번으로 알려져 있다. 36년 녹음은 서울음반 CD의 선생 약력에 소개되고 있는데, 일제시대인 빅터레코드사의 SP 녹음이다. 1976년 녹음은 중앙일보사의 '국악의 향연' 전집 중으로 1988년 발매된 것이다. 그리고 다시 1년 후 1977년 녹..

클래식 이야기 2023.10.10